비하인드 스토리
신종 코로나 에어로졸 형태로도 전파가 가능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이제 마스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 같다. 본문
신종 코로나 에어로졸 형태로도 전파가 가능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이제 마스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 같다.
author.k 2020. 2. 10. 19:36에어로졸은 "지구 대기 중을 떠도는 미세한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을 뜻한다.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에어로졸 통한 전파가 가능하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 되고 있다. 기존 비말, 접촉으로 인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력했는데, 에어로졸 형태로도 전파가 가능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이제 마스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 같다.
중국에서는 한 발표를 통해서 주요 감염 경로로 현재까지 알려진 직접 전파, 접촉 외에도 에어로졸 전파가 있다면서 경고를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담고 있는 비말이 공기중으로 혼합되어 코로나바이러스가 담긴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이를 흡입하게 된다면 감염이 되는 것이다.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 에어로졸 전파에 취약할 것이고, 마스크 외에도 손을 자주씻고, 물건을 만진 뒤 눈이나 코, 입을 만지는 행동을 삼가야 된다.
현재 중국에서는 에어로졸 전파 가능성을 높게 보고 치과 진료를 금지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만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그와 같은 에어로졸 전파가 현재 일어나고 있다면 밀폐된 건물 내에서도 집단 감염이 일어날 수 있고,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야한다.
과거 메르스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한 병원 내에서 에어로졸 형태로 메르스바이러스가 전파 되면서 해당 병원내 많은 환자들이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적 있다. 이와 같이 폐쇄된 건물 내에서 바이러스가 에어로졸로 전파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감염이 될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사망자 및 확진자가 줄어들 생각이 없고 약 3만 5천명의 확진자, 700여명의 사망자가 나온 상황인데,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경로가 에어로졸까지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다면 우리나라는 더욱 방역에 힘을 쏟고 집중을 해서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야 될 것이다.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설의 17번 환자, 퇴원하며 남긴 말 (0) | 2020.02.12 |
---|---|
소름 주의 "신종 코로나 국내 확진자 중 자가면역 치유사례 나와" (0) | 2020.02.11 |
코로나 25번 환자 발생..기사에 묘한점.. (0) | 2020.02.09 |
숙명여대 합격한 성전환 여성, "입학 포기하겠다", 다시 여대는 지원하지 않을 생각 (0) | 2020.02.07 |
바람핀 남친의 차를 긁은 여자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