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하인드 스토리
대한민국 5천만 국민중 당뇨인구 천만시대라고 하는데 무시무시한 일입니다 본문
반응형
당뇨이전단계인 내당능+공복혈당장애까지 포함해서 당뇨 인구가 천만 시대에 근접했다고 하는 기사를 종종
보셨을겁니다. 갈수록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불규칙한 식습관이 겹치면서 당뇨인구가 매우 빠르고 급속
도록 늘어가고있다고하죠. 이건 걸리는 순간 사실상 완치가 없습니다. 평생 관리해야되고 혈당수치가 심할경우
평생 인슐린 조절해가면서 해야되구요. 당뇨로 합병증 걸려서 돌아가신분들을 보셨다면 이게 무슨 의미지 잘 아실
겁니다.
제가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게 제 주변에도 그렇고 당뇨에 대하여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은듯한데
일단 본인의 식습관이 폭식,과식 고칼로리 폭탄 들이붓는 스타일이면 반드시 조심하셔야되구요. 당뇨란게 선천적
인 1형당뇨가 아닌 후천적인 2형 당뇨의 경우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습니다. 꾸준하게 누적되다가 버티다버티다
못한 췌장이 맛탱이가면서부터 혈당을 잘 유지를 하지못하고 결국 당뇨로 넘어가는거죠. 대개 사회생활을 본격
적으로 시작하면서 관리가 힘들어지는 30대 초반이후에 많이 발생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20대후반~30대초반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구요.
당뇨가 그리고 왜 무섭냐면, 검사법자체에서 당뇨라고 나오지는 않지만, 실제로 당뇨이전단계나 당뇨일 수가 있는 부
분이 가장 문제입니다. 보통 내과나 건강검진시 가장 대중화된 검사법은 [공복혈당] / [당화혈색소] 이 두가지인데,
공복혈당이야 뭐 일정시간 공복이후에 재는거라 다 아실거고 당화혈색소는 약 3개월간의 [평균혈당] 추이를 보는것이죠.
정말 확정적이고 심한 사람들은 이 당화혈색소에서 당뇨가 나옵니다. 하지만 이 당화혈색소는 [평균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식후 2시간이후 고점 피크로 몇번씩 기준치를 넘겨버리는것까지 잡지를 못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내당능이나 피크치 찍어서
넘기는 당뇨임에도 당화혈색소가 정상이라 룰루랄라 방심하다가 더 안좋아지는 경우도 있구요.
저 부분을 알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시약먹고 2시간동안 혈당 추이를 알아볼 수 있는 [당부하검사] 라는것을 해야되구요.
물론 시간도 걸리고 번거롭기 때문에 병원에선 기본적으로 [당화혈색소] 와 [공복혈당]을 기준으로만 먼저 보기는 합니다.
만약 자기가 식습관이 매우 불량하고 비만하거나 혹은 다른데 다 살이없는데 뱃살만 튀어나온 마른비만, ET체형일경우도
굉장히 위험요소가 높으므로, 이런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면 병원에서 당화혈색소와 공복혈당을 기본으로 받은다음, 식후
2시간혈당까지 몇번 재보고 거기서 만약 많이 수치가 높을경우 추가적으로 당부하검사를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뭐 이렇게 써봐야 관심있으신분들은 사실 별로 없을거에요. 직접 몸에 닥치기전까진 알지못하니까요. 그래도 5천만국민중
천만이라는 숫자의 비율은 절대로 간과할 수치가 아닙니다. 손만 뻗으면 도처에 먹을게 깔려있고, 불규칙한 식습관과 패턴,
극심한 운동부족등.. 당뇨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매우 큽니다. 물론 이건 당뇨뿐만 아니라 몸 전체적으로 안좋은거지만요.
한번 손상된 췌장기능은 현대의학으로는 아직까지 복구가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이런 부분에 안좋은것들이
많다면 위험을 인지하고 찾아보는것이 좋겠죠.
추가적으로, 몸관리 열심히하고 군살하나없어보이는 운동선수들조차 당뇨걸리는 경우 당연히 있습니다. 물론 필요한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칼로리 섭취가 더 많긴하겠지만 이 역시도 한번에 들이붓는 경우 췌장이 버틸 수 있는 한계가 분명
히 존재하기 때문이죠. 대개 은퇴하면서부터 몸관리가 조금만이라도 무너지면 그동안은 근육으로 혈당을 어느정도 조절하던
게 급속도록 내려앉는것도 있구요. 어쨌든 한번에 들이붓는 습관이 제일 위험합니다.
보셨을겁니다. 갈수록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불규칙한 식습관이 겹치면서 당뇨인구가 매우 빠르고 급속
도록 늘어가고있다고하죠. 이건 걸리는 순간 사실상 완치가 없습니다. 평생 관리해야되고 혈당수치가 심할경우
평생 인슐린 조절해가면서 해야되구요. 당뇨로 합병증 걸려서 돌아가신분들을 보셨다면 이게 무슨 의미지 잘 아실
겁니다.
제가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게 제 주변에도 그렇고 당뇨에 대하여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은듯한데
일단 본인의 식습관이 폭식,과식 고칼로리 폭탄 들이붓는 스타일이면 반드시 조심하셔야되구요. 당뇨란게 선천적
인 1형당뇨가 아닌 후천적인 2형 당뇨의 경우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습니다. 꾸준하게 누적되다가 버티다버티다
못한 췌장이 맛탱이가면서부터 혈당을 잘 유지를 하지못하고 결국 당뇨로 넘어가는거죠. 대개 사회생활을 본격
적으로 시작하면서 관리가 힘들어지는 30대 초반이후에 많이 발생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20대후반~30대초반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구요.
당뇨가 그리고 왜 무섭냐면, 검사법자체에서 당뇨라고 나오지는 않지만, 실제로 당뇨이전단계나 당뇨일 수가 있는 부
분이 가장 문제입니다. 보통 내과나 건강검진시 가장 대중화된 검사법은 [공복혈당] / [당화혈색소] 이 두가지인데,
공복혈당이야 뭐 일정시간 공복이후에 재는거라 다 아실거고 당화혈색소는 약 3개월간의 [평균혈당] 추이를 보는것이죠.
정말 확정적이고 심한 사람들은 이 당화혈색소에서 당뇨가 나옵니다. 하지만 이 당화혈색소는 [평균치]를 계산하기 때문에
식후 2시간이후 고점 피크로 몇번씩 기준치를 넘겨버리는것까지 잡지를 못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내당능이나 피크치 찍어서
넘기는 당뇨임에도 당화혈색소가 정상이라 룰루랄라 방심하다가 더 안좋아지는 경우도 있구요.
저 부분을 알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시약먹고 2시간동안 혈당 추이를 알아볼 수 있는 [당부하검사] 라는것을 해야되구요.
물론 시간도 걸리고 번거롭기 때문에 병원에선 기본적으로 [당화혈색소] 와 [공복혈당]을 기준으로만 먼저 보기는 합니다.
만약 자기가 식습관이 매우 불량하고 비만하거나 혹은 다른데 다 살이없는데 뱃살만 튀어나온 마른비만, ET체형일경우도
굉장히 위험요소가 높으므로, 이런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면 병원에서 당화혈색소와 공복혈당을 기본으로 받은다음, 식후
2시간혈당까지 몇번 재보고 거기서 만약 많이 수치가 높을경우 추가적으로 당부하검사를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뭐 이렇게 써봐야 관심있으신분들은 사실 별로 없을거에요. 직접 몸에 닥치기전까진 알지못하니까요. 그래도 5천만국민중
천만이라는 숫자의 비율은 절대로 간과할 수치가 아닙니다. 손만 뻗으면 도처에 먹을게 깔려있고, 불규칙한 식습관과 패턴,
극심한 운동부족등.. 당뇨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매우 큽니다. 물론 이건 당뇨뿐만 아니라 몸 전체적으로 안좋은거지만요.
한번 손상된 췌장기능은 현대의학으로는 아직까지 복구가 불가능한 영역입니다. 따라서 평상시에 이런 부분에 안좋은것들이
많다면 위험을 인지하고 찾아보는것이 좋겠죠.
추가적으로, 몸관리 열심히하고 군살하나없어보이는 운동선수들조차 당뇨걸리는 경우 당연히 있습니다. 물론 필요한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일반인들보다 칼로리 섭취가 더 많긴하겠지만 이 역시도 한번에 들이붓는 경우 췌장이 버틸 수 있는 한계가 분명
히 존재하기 때문이죠. 대개 은퇴하면서부터 몸관리가 조금만이라도 무너지면 그동안은 근육으로 혈당을 어느정도 조절하던
게 급속도록 내려앉는것도 있구요. 어쨌든 한번에 들이붓는 습관이 제일 위험합니다.
반응형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산 고교 기간제 30대 보건 여교사 의혹 논란 씹덕 터지는™ 뒷이야기 (0) | 2018.11.12 |
---|---|
논산 여교사 20대 중반도 아니고 30대 중반 ㄷ ㄷ (0) | 2018.11.12 |
백종원 한끼값 얘기는 좀 너무 나가신듯 (0) | 2018.10.23 |
김성수 졸업사진 인증한 사람들 얘기 들어보니깐 (0) | 2018.10.22 |
김포 맘카페 회원수 3만밖에 안되던데 (0) | 2018.10.16 |
Comments